오늘은 각 나라 음식문화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마지막으로 짚고 넘어가야 하는 이야기,.
바로 "종교" 입니다.
종교와 음식은 크게 상관없다고 생각하겠지만, 종교적 음식은 언제나 정성이 들어가 있었으며 음식문화 발전과
부엌 문화 활성화에 큰 기여를 했습니다
예를 들어, 추석에 한국 사람들이 모여서 조상에게 재사를 들이며 정성 들여 만드는 음식들이나, 크리스마스나 땡스기빙 만찬들을 생각해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사실 한국요리문화는 많은 부분이 유교에서 비롯된 것들이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현대에 와서 많은 것들이 퇴색되고, 많은 사람들이 유교와 음식에 대한 관계를 피부로 느끼지 못하는 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아직도 어른 먼저 먹는 문화나, 제사상 차림 방법 등, 그저 우리가 숨 쉬듯 행하는 한국의 문화들을 보며
종교가 얼마나 인간 문화에 자연스럽게 스며들었는지 놀랄 따름입니다.
자 그럼 종교와 요리문화에 대해 공부하러 가봅시다.
1. 힌두교
- 특징-
- 첫 번째 종교는 힌두교입니다. 힌두교는 다양한 콘셉트의 신을 섬기는 것으로 유명한데요, 그중에서 주요 삼신이라 불리는 브라만 비쉬 누 시바 정도만 알고 있음 될 것 같습니다.
- 갠지스강을 신성한 강으로 여기고 있습니다
- 비슈누 신이나 다른 신들이 현신하는 것을 Avatars라고 부릅니다
- 만트라라는 보이지 않는 힘이 있다고 믿습니다.
- 또 카르마가 있고 크리쉬나라는 명절이 있습니다
- 음식에 영향을 준 종교 특징-
- 힌두교는 기본적으로 베지테리언 식단으로 짜여 있습니다. 특히 소는 절대로 먹으면 안 되는 육고기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 카스트 제도는 인간의 등급을 나눈 재도로써 브라만 카사트리야스 베이시야스 수드라 등의 계급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브라만은 아래 등급 사람들을 부리면서 최고급 음식을 먹고 수드라 계급의 사람들은 간신히 하루하루 연명합니다. 하지만 여기에
- 추가해서 untouchables이라는 계급이 있는데,.,. 이들은 불경 한 자들로 여겨지며 만지면 안 되는 존재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들을 달리트라고 말합니다. 카스트 제도는 패지 되었습니다., 하지만 카스트제도는 법이 아니라 문화입니다., 이 미친 재도는 폐지한다고 없어지지 않습니다. 카스트 재도의 개념을 패지 한 것이지,. 카스트 제도를 하는 사람을 처벌하는 법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 좋은 위생관념은 브라만 식당에서만 볼 수 있다
- 힌두교에서는 음식차림에 대한 중요한 2가지 단어가 있는데 Pakka와 Kacca이다. pakka는 상위 퀄리티의 상차림에 ghee라는 인도 버터가 더해진 것이고 Kacca는 그 아래 계급의 사람들이 먹는 ghee 가 포함되지 않은 상차림이다.
- 힌두교 대표 음식-
a. Jeepra rice 재프 라 밥. Basmatic 쌀 (날리는 쌀)과 시나몬 건고추 큐민 베이 립 기 등 다양한 향신료를 넣고 만든 밥이다.
b. palak panner 고타 치즈와 시금치를 넣어 만든 카레
2. 불교
- 특징-
- 종교이지만 신이 없습니다. 자신의 수련을 통해 열반에 들기 위해 수행하는 집단에 가깝습니다.
- 중앙아시아와 남아시아는 마하야나라고 부르고 남아시아의 불교 계통은 탈레 바다라고 부른다.
- 특히 북방 마하야나 대승불교에서는 bodhisttava 즉 보살이라는 수행자들이 존재한다
- 티베트 불교에는 행사가 존재하는데 절주 변을 끊임없이 걸어 다니는 것이다. 한국불교의 108배 같은 느낌
-음식에 관한 특징 -
- 다들 알다시피 불교는 채식주의를 기본으로 한다. 하지만 고기를 먹어서는 안 되는 것이 아니라 생명에 대한 존중 때문에 삼가는 것이다.
- 즉 죽은 동물이나 자신이 죽이지 않은 동물은 먹을 수 있다.
- 한국과 아시아 전역에 걸쳐 채식주의 문화의 정착을 가져오고, 육류 음식을 부정한 것으로 보아 음식 발전에 어느 정도 부정적인 역할이 있었다
- 하지만, 건강식 레시피 발전에 큰 기여를 한 것은 사실이다.
불교음식
yoh mari: 송편 같은 떡
dal bhat : 콩으로 만든 수프
3. 유교
-결혼: 신부 측 가족에서 수프를 준비하고 음식을 준비한다.
- 임신: 임산부를 위해 비타민이 많은 과일이나 쌀, 계란 건강식을 준다.
- 죽음: 49재를 지낸다., 밥 거의 못 먹음
유교에서는 조화와 예절을 중시한다. 제사 결혼 생인 등 여러 가지 행사에 올려야 되는 음식이 따로 있었고, 올리는 순서 요리하는 순서 등
아주 디테일하게 지켜야 되는 것이 있었다. 사실 그 예절은 보통 권력자의 호불호에 따라 달라지곤 했지만 ㅎㅎ
-특징-
유일신,
서양 요리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르네상스 전 서양 요리문화는 교회에서 정한 엄격한 식단에 따라 짜였습니다.
금식기간과 고난 주, 또한 크리스마스 등, 다른 종교에 비해 다양한 연례행사들에 따른 음식의 발전이 이루어졌습니다..
-음식에 관한 특징 -
현대 기독교에서는 딱히 금지하는 기간이 없습니다.
중세 로마 가톡릭이나 기독교 정교에서는 단시 기간과, 고기를 먹어서는 안 되는 데프라 기간이 있지만
현대에는 좀 더 행사에 가까운 의식이 되었습니다.
미국의 크리스마스 땡스기빙 그리고 마디그라 등 뭔가 축제처럼 여겨지는 기간들이 많아졌습니다.
자 이렇게 요리에 관한 기본적인 역사교육은 끝났습니다.
앞에 배웠던, 문화, 지리, 종교, 기본 바탕으로 각 나라별 요리문화의 특징을 살펴보면
어떠한 문화가 요리 레시피에 영향을 주었는지, 파악하기 쉬울 것입니다.
요리를 하는 것은 재미있고, 요리를 배우는 것은 어느 정도 지겹지만.
요리의 역사를 파악하면서 세계 문화를 이해하고, 서로를 알아가는 시간을 가질 수 있어서
이 역시 좋은 시간이었다고 생각합니다.
만약 해외에 나가게 되신다면, 조금이나마 제가 적은 내용이 도움이 되시기를 바라겠습니다
그럼 셰프 요미였습니다! 행복하세요!
'세계요리문화 > 세계요리 문화 (역사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리사가 알려주는 인육 레시피, 사람이 사람을 먹는 방법,.. (1) | 2022.09.22 |
---|---|
요리와 문화에대한 깊은 고찰,. 식문화는 어떻게 생기는 걸까? (4) | 2020.12.18 |
지형과 환경 날씨가 요리역사 에 미친 영향들,. 어떤 지형의 나라음식이 맛있을까? (0) | 2020.12.17 |
세계요리역사 1탄) 음식의 탄생과 기원 (2) | 2020.12.13 |